카테고리 : 세계문화 드윈터 | 2020. 5. 8. 22:51
러시아의 남성과 여성의 지위 1917년 사회주의 혁명 이후 여성과 남성의 권리가 동등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성 역할은 매우 보수적인 경향이 있다. 사회적으로는 여성이 우수한 직장을 다니며 높은 임금을 받기도 하지만 가정의 가장은 남성이고 중요한 결정권도 남성에게 있다. 은 아직도 전통적인 러시아의 가족상을 따른다. 중간세대의 남성이 가장으로서 가정의 수입을 담당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결정하며 육체적인 힘이 필요한 가정 일을 담당한다. 여성은 가사와 육아를 도맡아 하는 등 아내와 엄마의 역할을 한다. 노인은 가정에서 공경을 받아야 하고 자식과 손주의 삶에도 당연하게 관여한다. 자식은 성인이 될 때까지 부모의 양육을 받고 심지어 자립을 한 경우에도 경제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직장이나 교우관계에 대해서도 ..
카테고리 : 세계문화 드윈터 | 2020. 5. 8. 19:40
러시아인의 시간 개념 자본주의 사회의 사람에게는 익숙한 라는 말은 러시아인에게서는 별 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 러시아인은 전통적으로 시간 개념이 철저하지 않고 태평하다고 한다. 이러한 성격의 원인을 러시아의 긴 겨울과 넓은 땅, 불편한 도로 사정 때문이라고 하기도 한다. 열정적으로 계획은 세우지만 실제 삶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러시아인에게는 자세한 계획을 세우는 습관이 생길 수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특성은 언어적 표현에서도 볼 수 있다. 약속시간을 정할 때 часов в '8시쯤에.' около двух '약 2시에' , дня через два '2일쯤 지나서'등으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뿐만 아니라 거리에 대한 표현도 туда ктлом..
카테고리 : 세계문화 드윈터 | 2020. 5. 8. 16:34
찬사(발림 말)와 반응 찬사에 대한 관계는 나라마다 다르다. 핀란드인은 거의 찬사의 말을 하지 않고 호주 사람들은 자신이 한 찬사가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진실한 것이라고 호소한다. 러시아인은 일상적으로 이미 알고 지내는 사람이나 가까운 사람에게는 찬사의 말을 많이 한다. 관계가 먼 사람에게는 Вы очень хорошо выглядите! '당신은 매우 좋아 보입니다! ' 정도의 말을 하기도 한다. 이런 찬사의 말은 예의에 어긋나지 않게 선한 관계성이나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하는 것뿐이다. 찬사의 말은 여성들 사이에서 더 자주 들을 수 있다. 러시아 여성은 상대의 옷이나 머리 스타일 등 외모에 대해 자주 칭찬을 한다. 반면 러시아 남성은 여성들이 원하는 만큼 자주 찬사를 하지는 못한다. 직장에서는 동료..
카테고리 : 세계문화 드윈터 | 2020. 5. 7. 21:40
러시아인들이 서로 대화를 나눌때 상대방과의 거리, 대화 에티켓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개인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느끼는 다른 사람과의 거리는 민족마다 다르다. 러시아인이 침해받고 싶어 하지 않는 개인의 영역의 크기는 북유럽이나 미국인들보다는 작고 남유럽이나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인들보다는 크다고 한다. 즉, 러시아인은 북유럽이나 미국인보다 상대방에게 더 가깝게 다가서서, 남유럽이나 라틴아메리카인보다는 더 멀리 떨어져서 대화를 나눈다. 러시아인은 가까운 사이가 아닐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한 걸음에서 한 걸음 반 정도 거리를 두고 얘기를 나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친한 사이면 가까이 서서 대화를 하지만 러시아는 그렇지가 않다. 친구와는 반 걸음 정도의 거리나 더 가까이에서 얘기를 나누지만 두 걸음 이상의 거..
카테고리 : 세계문화 드윈터 | 2020. 5. 7. 17:11
улыбка '미소'는 러시아인과의 의사소통에서 방해가 될 수 있다. 매너를 지키기 위한 정중한 미소에도 러시아인은 상대방을 그리 신뢰하지 않게 되고 심지어 적의를 품기까지도 한다. 정중함의 표현으로 짓는 미소를 러시아어로 라고 하는데, 러시아에서는 이것을 진실하지 못한 사람의 특성으로 간주한다. 러시아인은 지인에게만 미소를 지으며 그것도 뭔가 이야기를 해야 할 경우에만 미소로 대응한다. 러시아인은 진실로 기분이 좋은 것에 대해서만 미소로 나타내며, 러시아에서는 미소에 다른 사람을 기분 좋게 하거나 용기를 주기 위한 기능은 없다. 어떤 사람이 미소를 지으면 러시아인은 그 미소에 대한 이유를 찾으려 노력을 한다. 러시아에는 >라는 관용표현이 있다. 러시아인은 일을 할 때는 신중해야 하므로 웃으면 안 된다고..
카테고리 : 세계문화 드윈터 | 2020. 5. 5. 16:01
세계 여행을 할 때 본인이 가고자 하는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알면 그 나라가 조금 더 다르게 보인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이제부터 각 나라의 문화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예를 들면 베트남을 여행할때, 베트남 전쟁을 알고 가면 우리나라와 베트남과의 관계도 좀 다르게 보이고, 캄보디아를 여행할때 앙코르와트의 문화, 힌두교의 문화를 알고 여행을 하면 그냥 단순히 보이는 돌조각들이 새로운 시선으로 보이며, 러시아를 여행할 때 러시아 사람들은 왜 이렇게 무뚝뚝한지 왜 웃지 않는지 그 문화를 알면 여행을 함에 있어서 조금 더 이해가 된다. 러시아인의 성명 문화 14~15세기부터 귀족이나 영주가 성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18세기 전가지 러시아 평민은 성이 없었다. 대부분의 성은 아버지나 선조의 이름, 마을이나..